티스토리 뷰

Twitter_20

[트위터] 해적기를 단 해군함

마지널 2018. 10. 7. 16:46

[트위터] 캡틴 키드의 귀환

https://twitter.com/Luuuuuuuuuuuu/status/1048502880875888640




진주만 공습 당시 미국 제독인 아이작 키드가 사망함. 해군은 추도의 의미로 새 구축함에 키드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잘 몰랐는지 비꼬려는 의미였는지 NYT 기자가 "캡틴 키드의 귀환"이라고 기사를 씀. 뱃놈 + 키드라고 하면 다들 윌리엄 키드를 떠올리는 건 인지상정....


그런데 이거 보고 선원들이 화를 내기는 커녕 "이거다!" "해적기를 달자!" 함.

하지만 키드라는 이름은 원칙상 갓 전사한 제독님 이름이라 뭔가 고인모독이 될 우려가 있어서, 승무원들이 고 키드 제독의 미망인에게 이래저래 해적기를 달아보고 싶은데 폐가 되지 않는지 편지로 문의함.


그러자 미세스 키드께서 답신하시길 "남편 생도시절 별명이 캡틴 키드였음. 그거 생각나니 맘대로 하슈 ㅇㅇ"

오히려 한술 더 떠서 해군에 편지를 보내 구축함 키드에 해적기를 허락해달라고 청원까지 했고, 덕분에 USS 키드는 해군 명령으로 해적기를 달 수 있는 유일한 배가 됨.


이후 키드는 물에 빠진 파일럿을 건져 몸값으로 항공모함의 아이스크림을 갈취하는 등 악랄한 해적활동으로 명성을 떨쳤고 (아이스크림 제조기까지 약탈했다는 설도 있음) 이름을 물려받은 배들은 아직도 가끔씩 해적기를 걸고 다님. ㅇㅁㅇ


[USS KIDD VETERANS MUSEUM] USS KIDD (DD-661)

http://usskidd.com/history.html


The KIDD's first voyage was one of some notoriety. Under the command of Cdr. Allan B. Roby, the destroyer moved across New York Harbor for delivery to the Brooklyn Naval Shipyards . . . flying the skull and crossbones of the Jolly Roger high from the foremast. The edition of TIME magazine that week carried a photo of KIDD, announcing that it had been one hundred years since the Jolly Roger had flown in New York Harbor. The crew quickly adopted the pirate Captain Kidd—who ironically hailed from New York—as their mascot and hired a local cartoonist to paint the famed buccaneer's image high of the forward smokestack.  Not wishing to dishonor RADM Kidd, however, the crew obtained permission from Mrs. Kidd first.  The Admiral's nickname at the Naval Academy had been "Cap" (as in "Captain Kidd") and he had gone by this nickname his entire life.  So on the crew's behalf, Mrs. Kidd obtained official permission from the powers-that-be in the Navy for them to paint the pirate on the stack and fly the Jolly Roger.  The KIDD would become the only vessel i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Navy to ever have such leave granted to fly the flag of piracy.


해적기는 영어로 Jolly Roger라고 한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